한국
사주명리 연구
2012년 대한민국학술원(大韓民國學術院) 우수학술도서 선정
표
목 록
<표 1> 명과학 과거시험[科試] 방법과 과목
<표
2> 명과학 취재(取才) 과목과 방법
<표
3> 잡과 입격자의 최고 품계 (단위: 명)
<표
4> 음양과 입격자의 진출 관직 현황 (단위: 명)
<표
5> 명과학 입격자의 성관 현황 (단위: 명)
<표
6>『관자』「사시」·「오행」의 오행 배속
<표
7> 사주명리의 부호로서 십간ㆍ십이지와 음양오행
<표
8> 팔괘(八卦)의 성립과 삼재(三才)의 원리
<표
9> 상대(商代)의 숫자 기호
<표
10>『사기』「천관서」의 세명(歲名)
<표
11>『회남자』「천문훈」의 세명(歲名)
<표
12>『이아』「석천」의 세명(歲名)
<표
13>『한서』「천문지」의 세명(歲名)
<표
14>『이아』「석천」과『사기』의 세양(歲陽)
<표
15>『한서』의 12차와 12진
<표
16>『이아』「석천」의 월양(月陽)
<표
17>『이아』「석천」의 월명(月名)
<표
18> 오천(五天)과 오운(五運)의 관계
<표
19>『명리약언(命理約言)』에 수록된 격국 유형
<표
20> 12지와 12성ㆍ황도12궁의 관계
<표
21> 12천성의 기본 특성과 중첩에 따른 특성 변화
<표
22> 남녀 순역 적용의 예시(1967년 정미丁未
음력 10월 15일 묘卯시생,
여자)
<표
23> 생월일 천성 짚는 방식의 예시(1967년 정미丁未
음력 10월 15일 묘卯시생,
남자)
<표
24> 당사주 책의 수록 내용
<표
25> 부부궁 ‘구자(求子)’ 항목 비교
<표
26> 토정비결의 천간수와 지지수
<표
27> 토정비결 131괘의 신수 풀이
<표
28> 토정비결 괘사의 변화 양상(111괘)
<표
29> 육십갑자 납음오행
<표
30> 납음오행 궁합의 길흉 관계
<표
31> 혼인과 궁합에 대한 견해 1
<표
32> 혼인과 궁합에 대한 견해 2
<표
33> 오행(五行)과 삼재(三才)의 만물 배속 관계
<표
34> 육신(六神)과 오복(五福)의 관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