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즐겨찾기추가
김만태 교수의 이름 이야기

Research

연구자료실

연구논문
연구자료실
조선조 음양과(陰陽科) 명과학(命課學)의 필수과목『원천강(袁天綱)』연구
2023.05.27 10:51
작성자 : 김만태교수    메일 : ware4u@hanmail.net 조회 : 2,345  
   조선조 음양과(陰陽科) 명과학(命課學)의 필수과목 『원천강(袁天綱)』 연구.pdf (1.0M) [8] DATE : 2023-05-27 10:51:46


조선조 음양과(陰陽科) 명과학(命課學)의 필수과목『원천강(袁天綱)』연구
김만태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동양학 제77집 | 2019.11

        Ⅰ. 머리말
        Ⅱ. 명과학의 시취(試取)와『원천강』의 유래
        Ⅲ.『원천강』의 구성과 주요 내용
        Ⅳ.『원천강』의 지명(知命)체계 특징
        Ⅴ. 맺음말

 『원천강』은 1430년(세종 12) 명과학의 취재(取才)과목으로 규정되고, 1466년(세조 12)『경국대전』「예전」에서 명과학의 과거(科擧)과목으로 규정되어 조선말까지 약 480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명과학 전공자들의 주요 본업서(本業書)이자 명과학의 필수 시험과목으로 활용되었다.
 『원천강』은 그 저술시기와 저술자가 명확하지 않다. 책이름『원천강』은 7세기 초중반 당대(唐代)에 방기가(方技家)로 활동했던 ‘원천강(袁天綱)’이란 인물의 이름과도 일치한다. 그러나 원천강의 이름에 가탁(假託)해서 펴낸 저술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본의 맨 처음 목록면에는 ‘宣賜之記, 安鼎福印, 心齋, 李王家圖書之章’라는 장서인이 찍혀 있다. ‘宣賜之記’는 임금이 하사하는 물품에 찍는 도장인 선사보(宣賜寶)이므로 임금의 명으로 원천강을 발행하여 관원들에게 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원천강』의 본래 명칭은 원천강오성삼명지남(袁天綱 五星三命指南)으로 서문과 발문이 없으며, 10권이고 발단류(發端類)부터 명격류(命格類)까지 15가지로 분류하여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원천강에 함축된 명리 인식과 특징은 크게 5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① 납음오행(納音五行) 활용 ② 연월일시태(年月日時胎) 오주(五柱)체계 ③ 오행(五行)의 왕상사수휴(旺相死囚休) 중시와 12운성(運星) 활용 ④ 음양순행(陰陽順行)·동생동사(同生同死)·수토동궁(水土同宮) 관점 ⑤ 각종 신살{神殺, 12신살(神殺)·귀인(貴人)·녹신(祿神)·관살(關殺)·공망(空亡)} 중시 등이다.
  납음오행과 태원(胎元), 각종 다양한 귀길신(貴吉 神)과 흉관살(凶關殺)을 지명(知命)에 중요하게 활용하는 고법(古法)명리의 전형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주제어: #음양과, #명과학, #원천강, #원천강오성삼명지남, #사주명리, #명리학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명함2.png
대구작명소 유명한 김만태교수 유명한 대구작명소 김만태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대구작명 대구사주 대구철학관 김만태교수 유명한 철학관
#유명한 #작명소 #철학관 #김만태 #김만태교수 #대구작명소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유명한작명소 #사주잘보는철학관 #대구작명

 
   

copyright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김만태교수 사주작명원>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