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직업군의 명리학적 특성 고찰
김태수·김만태 | 한국문화융합학회 | 문화와 융합 제43(1)호 | 2021.01
1. 머리말
2. 교사의 직업 특성 이론
3. 명리학적 사례분석
4. 명리학적 직업 특성 분석결과
5. 맺음말
본 연구는 학교와 직장의 진로지도 현장에서 동양문명의 지혜와 과학이 담긴 명리학(命理學)의 직업 적성 분석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기 위하여 선행논문에서 밝힌 직업 적성에 대한 명리학적 특성들을 가설로 삼아 실증적 사례분석 결과와 부합되는지를 검증하고자 질적 분석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직접 수집한 국‧공립 학교 장기재직 교사 224명의 사주에 격국(格局)과 용신(用神), 십성(十星), 일간(日干), 일지(日支), 월지(月支), 음양오행(陰陽五行), 십이운성(十二運星) 이론을 적용‧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정인격(正印格), 식신격(食神格)이 우세하였고 격국용신(格局用神)으로 식상과 인성의 활용이 우세하였으며, 사주의 한난조습(寒暖燥濕)이 원국(原局)이나 대운에서 조후용신(調候用神)으로 충족되며 상생‧균형‧중화를 잘 이루는 구조를 갖추었으므로 명리학적 직업 특성의 분석은 격국과 용신, 십성에서 파악될 수 있다는 선행논문의 가설과 일치하는 결과를 검증하였다.
일간, 일지, 월지, 음양오행, 십이운성(十二運星) 분석에서는 특정 성분의 편중을 판단하기 어렵고 그 편차가 크지 않아서 획일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니 단순히 특정한 성분의 수적(數的) 우열(優劣)만을 가려서는 사주의 직업적성의 분석에 적용할 수 없음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명리학이 진로지도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인접 학계에서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직업군으로 연구가 확대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한다.
주제어: #명리학, #사주, #교사, #직업진로, #직업적성
대구작명소 유명한 김만태교수 유명한 대구작명소 김만태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대구작명 대구사주 대구철학관 김만태교수 유명한 철학관
#유명한 #작명소 #철학관 #김만태 #김만태교수 #대구작명소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유명한작명소 #사주잘보는철학관 #대구작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