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즐겨찾기추가
김만태 교수의 이름 이야기

Research

연구자료실

연구논문
연구자료실
지지(地支)의 상호 변화작용 관계로서 지지합(地支合) 연구
2015.04.01 23:25
작성자 : 김만태교수    메일 : ware4u@hanmail.net 조회 : 4,913  
   地支의 상호 변화작용 관계로서 地支合 연구.pdf (719.8K) [84] DATE : 2015-04-01 23:25:25

명리학, 사주명리, 진로적성, 작명, 개명, 신생아, 신생아이름, 신생아작명, 아기이름, 아기이름작명, 사주상담, 작명상담, 상호작명, 성명학, 음양오행, 직업

지지(地支)의 상호 변화작용 관계로서 지지합(地支合) 연구

 

김만태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철학논집 제31집 | 2012.11

 

                Ⅰ. 머리말
                Ⅱ. 지지의 배속과 의미
                Ⅲ. 지지 육합(六合)의 의미와 구성 원리
                   1. 지지 육합에 함축된 의미
                   2. 지지 육합을 구성하는 원리
                     1) 일월회합설(日月會合說)
                     2) 일월합삭설(日月合朔說)
                     3) 월건월장설(月建月將說)
                     4) 황도12궁설(黃道12宮說)
                Ⅳ. 지지 삼합(三合)의 의미와 구성 원리
                Ⅴ. 맺음말

 

  동아시아인의 독특한 사유 활동을 표현하는 기호인 지지는 待對 관계 속에서 상호 작용하는 경우가 더 중대하다. 그 일환으로 지지의 합에는 六合·三合·方合 등이 있다. 육합은 음양 두 지지 간의 결합을 말하는 것으로『장자』와『회남자』에서 언급되는 육합의 개념과도 상통한다. 세 지지 간의 同氣 결합을 의미하는 삼합은 세 지지 간의 계절적·방위적 결합인 방합과 구별된다.
  육합을 구성하는 원리를 일월회합설, 일월합삭설, 월건월장설, 황도12궁설 등으로 유형화하여 고찰하였다. 일월회합설은 매월 초하루[朔] 12신(辰)과 12次에서 월건과 일월회합의 상합 관계로 육합이 구성된다고 본다. 문헌상 삼합의 최초 단서는『회남자』천문훈에 등장한다. 土局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고 火局과 동일하게 취급하는 현재의 三合說과 달리『회남자』에서는 午를 토의 生支, 戌을 토의 旺支, 寅을 토의 庫支로 인식하고서 午戌寅을 토국으로 설정하였다. 이런 논의들은 지지합에 함축된 의미를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주제어: 지지, 십이지, 지지합(地支合), 육합(六合), 삼합(三合), 방합(方合)


 
   

copyright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김만태교수 사주작명원>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