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사주명리, 진로적성, 작명, 개명, 신생아, 신생아이름, 신생아작명, 아기이름, 아기이름작명, 사주상담, 작명상담, 상호작명, 성명학, 음양오행, 직업
‘짜장면’의 토착화 요인과 문화적 의미
김만태 | 한국민속학회 | 한국민속학 제50집 | 2009.11
Ⅰ. 머리말
Ⅱ. 자장면의 유래
Ⅲ. 자장면의 토착화 요인
Ⅳ. ‘짜장면’에 담긴 문화적 의미
Ⅴ. 맺음말
19C말 조선과 청의 교류 상황 속에서 유래된 자장면은 해방 이후 미국의 잉여농산물 원조정책과 한국 정부의 분식장려운동정책에 힘입어 빠르게 소비가 증가하였다. 중국음식점의 증가, 자장면 요리법의 변화, 자장면의 구수하고 일정한 맛, 부담 없는 가격, 외식․배달문화의 번성, 우리의 국수문화, 한민족과 된장․춘장의 친연성(親緣性) 등도 자장면이 한국 음식문화의 주요 상징으로 자리매김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한국사회에서 자장면이 갖는 의미는 자장면 소비자의 변수, 즉 연령·식성·성별·사회심리·경제력·생활양식·몸 상태·거주지 등과 관련이 깊다. ① 향수를 느끼는 음식 ② 특별음식에서 보통음식으로 ③ 간편한 끼니 음식 ④ 편한 사람과 먹는 음식 ⑤ 어릴수록 선호하는 음식 ⑥ 춥거나 속 풀 때는 덜 선호되는 음식 ⑦ 향수와 건강 사이의 갈등 음식 ⑧ 생존경쟁이 치열한 음식 등 8가지가 이 시대 한국사회에서 자장면이 갖는 문화적 의미이다.
주제어: 짜장면, 자장면, 화교, 향수(鄕愁), 노스탤지어, 음식문화, 토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