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토기운(土) 보완 개운법
|
2023.12.21 07:18 |
 |
|
작성자 : 김만태교수 메일 : ware4u@hanmail.net |
조회 : 6,109 |
|
토기운(土) 보완 개운법
토가 없는(부족한) 사주, 금이 약한 사주, 화가 많은 사주
토가 없는 사주: 끈기가 없다, 포용력이 없다, 안절부절못한다.
금이 약한 사주: 결단성(맺고 끊는 게) 없다, 흐지부지, 정리·매듭·마무리 약하다.
화가 많은 사주: 일을 많이 벌인다(마무리를 못한다), 시끄럽다, 실속 없다, 비밀 간직 어렵다.
토는 땅과 흙, 늦여름과 환절기, 조화·중재하는 성향을 갖고 있다.
늦여름은 무더위가 꺾이는 때이다. 한없이 성장할 것 같더니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 생명이 성장을 멈추고 흙 속에서 (음양이) 변화를 일으키는 계절이다. 봄여름의 팽창하는 양(陽)의 작용이 변화하는 것이다. 늦여름의 작용은 변화하는[化] 것이고 늦여름의 상징은 흙[土]이다.
높고 낮은 산과 들, 논과 밭, 대지와 터를 의미하며 모래와 진흙 같은 흙도 의미한다. 땅속에 정기(精氣)를 머금었다가 토(吐)해냄으로써 만물을 길러내고, 이렇게 길러낸 만물을 다시 갈무리하는 일을 한다. 글자 土에서 ‘二’는 땅위와 땅속을 상징하고, 곧게 세운 ‘丨’(뚫은 곤)은 만물이 땅을 뚫고 나오는 것이다.
사계절의 사이에 거처하고 다른 오행을 두루 포용하며 중재하고, 저장·보관한다. 봄여름[陽]과 가을겨울[陰] 사이에 위치하여 발산하는 양의 기운을 수렴하는 음의 기운으로 조절·전환하고 중재한다. 또한 각 사계절의 사이에 거처하여 다른 오행을 두루 도와 길러주면서 포용하여 축장(蓄藏)하는 역할도 한다.
방위 역시 사방에 고루 작용할 수 있는 중앙에 위치하여 나머지 오행을 조절함으로써 어느 한쪽으로 기운이 치우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사람을 비롯한 육지 동식물이 뿌리를 내리며 사는 곳이고, 좀처럼 변하지 않으며 움직임이 거의 없다. 토는 흩어지는 것을 모으고 내실을 기하며, 심고[稼] 길러서 거둔다[穡].
따라서 토가 필요한 사주는 다음 사항들과 인연을 맺고 생활 속에서 가까이하는 것이 운을 좋게 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재질: 흙·땅
흙과 땅을 가까이하거나 활용하는 직업이나 취미·일상생활, 농경·전원생활·산책 등
계절: 늦봄․늦여름․늦가을․늦겨울, 장하(長夏, 7월)
각 계절의 끝, 특히 늦여름 풍경 사진이나 그림으로 실내장식
방위: 중앙(中)
土 山 田 中이 들어가는 지명이나 장소에 거주하거나 사무실,
장소의 가운데 중앙에 책상이나 침실, 사무실
기후: 습기(濕)
시간: 축(丑, 오전 1~3), 진(辰, 오전 7~9), 미(未, 오후 1~3), 술(戌, 오후 7~9)
밤·아침·점심·저녁의 사이 시간에 주로 활동하거나 중요한 일을 수행하고 결정
색깔: 노랑(黃)
옷, 벽지, 커튼, 생활용품, 실내장식 등에 활용
맛: 단맛(甘)
벌꿀, 바나나, 참외, 볶은 양파 등
동물: 모든 육류 고루 섭취
조화(化): 중개·중매·주선·교섭·상담
한글(자음) ㅁ ㅂ ㅍ
한글(모음) ㅡ ㅣ
ㅁㅂㅍㅡㅣ가 들어가는 이름이나 상호·지명
숫자 5 0
5 0이 들어가는 번호나 호수
장부: 위장·비장, 소화기 건강에 유의
인체: 소화기·복부, 근육·피부, 입[口] 건강에 유의
성품: 신의(信)가 있는 태도
마음: 포용, 안정, 조화
다른 사람과 일들을 두루 포용하고,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편들지 말고 균형 있게 처리하며, 호불호를 판단하기보다는 먼저 수용하는 자세
전공․직업: 중개·종교·교육·저장·토지·농산·토건
<전공> 부동산, 토목, 농학, 역사학, 식품영양, 스포츠, 종교, 중국, 중동
<직업> 부동산, 토목, 건축, 건설, 주택, 토지, 전통문화, 종교인, 철학, 무속, 예능, 스포츠(필드), 산악인, 등산용품, 도예, 도자기, 골동품, 곡물, 식품, 제분업, 약초, 토산품, 농산물, 농업, 목축, 창고, 보관, 편의점, 숙박업, 토속음식, 중개·중매, 보험, 경영지원, 중국어, 피부 관련, 노인복지, 인생 상담, 컨설팅, 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교육 및 상담 관련직 ☜ 토가 필요한 사주는 이와 관련된 전공과 직업, 취미, 사회활동을 하는 것이 매우 좋습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