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에서 지장간의 천간(天干) 구성과 일수(日數) 배속 고찰
최산태·김만태 | 아시아문화학술원 | 인문사회21 제11(3)호 | 2020.06
I. 머리말
Ⅱ. 명리학에서 지장간의 의미
Ⅲ. 지장간의 천간(天⼲) 구성 분석
Ⅳ. 지장간의 일수(⽇數) 배속 분석
1. 寅申巳亥(⽣⽀)
2. ⼦午卯⾣(旺⽀)
3. ⾠戌丑未(庫⽀)
Ⅴ. 맺음말
본 논문의 목적은 명리학에서 지장간(支藏干)의 천간(天干) 구성과 일수(日數) 배속에 관하여 연구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2지지를 생지(生支)인 인신사해(寅申巳亥), 왕지(旺支)인 자오묘유(子午卯酉), 고지(庫支)인 진술축미(辰戌丑未)로 구분하였다. 이는 합화오행(合化五行)의 원리인 천간합(天干合)과 관련 있으며, 월률분야(月律分野) 지장간의 천간 구성과 일수 배속을 구성하는 토대가 된다.
그 연구결과 팔간(八干)·사유(四維)·십이지(十二支)의 이십사향도(二十四向圖)를 근간으로 그 자릿수로써 여기(餘氣)·중기(中氣)·본기(本氣)의 일수를 배속하는 이치를 도출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가 지금까지 그 이해가 미흡했던 지장간 구성에 관한 학술적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지장간의 구성에서 하도(河圖)의 수(數)로 보는 천간 구성과 일수 배속에 관하여는 후속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주제어: 명리학, 사주명리, 지장간, 천간, 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