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저학년 진로·흥미 탐색과 명리학의 상관성 연구
나윤경·김만태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동양문화연구 제36집 | 2022.05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진로⋅흥미 탐색과 사례분석
Ⅳ. 진로⋅흥미 탐색 검사 결과와 명리학 이론의 상관성 분석 결과
Ⅴ. 맺음말
본 논문은 명리학의 직업적성을 연구한 것으로 자신의 직업적성을 이해하고 직업을 선택한다면 직업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흥미와 명리학의 상관성을 연구하여 적성에 맞는 진로 선택 방향을 학생들에게 제시하여 자신의 선천적 재능과 적성을 미리 알아 만족한 직업을 찾기를 바라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사는 초등학교 1학년 19명, 2학년 4명, 3학년 1명으로 직접 수집한 사주명리와 장래희망, 주니어 커리어넷 진로⋅흥미 탐색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을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로 한정한 이유는 자신의 진로적성을 일찍 탐색하면 할수록 자신의 정체성을 파악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선행논문에서 밝혀낸 Holland의 직업적성에 대한 명리학적 특성의 결과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흥미에 대한 명리학적 특성이 서로 부합되는지를 확인하려고 한다. 일간을 중심으로 명리학의 음양과 오행의 물상, 일간, 십성과 격국 등을 적용하여 직업적성을 분석하였고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흥미 직업탐색 결과지와 명리학 선천적 직업적성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Holland의 직업적성에 대한 명리학적 특성의 사례분석은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서로 복합적, 유기적으로 상관성을 가지고 있어 동⋅서양의 융합적 분석은 서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Holland 직업 흥미 검사 결과 중 진취형과 관습형은 검사 결과에서 한 명도 나오지 않았는데 이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가치관이 아직 확립된 시기가 아닌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진로․흥미․직업 탐색과 명리학적 선천적 직업적성의 상관이 조기에 분석되어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유익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주제어: 명리학(命理學), 십성(十星), 격국(格局), 진로, 홀랜드(Hol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