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즐겨찾기추가
김만태 교수의 이름 이야기

Research

연구자료실

연구논문
연구자료실
민속신앙을 읽는 부호, 십간(十干)ㆍ십이지(十二支)에 대한 근원적 고찰
2015.04.01 17:39
작성자 : 김만태교수    메일 : ware4u@hanmail.net 조회 : 5,312  
   민속신앙을 읽는 부호, 십간(十干)ㆍ십이지(十二支)에 대한 근원적 고찰.pdf (1.6M) [108] DATE : 2015-04-01 17:39:44

명리학, 사주명리, 진로적성, 작명, 개명, 신생아, 신생아이름, 신생아작명, 아기이름, 아기이름작명, 사주상담, 작명상담, 상호작명, 성명학, 음양오행, 직업

민속신앙을 읽는 부호, 십간(十干)ㆍ십이지(十二支)에 대한 근원적 고찰

 

김만태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민족문화연구 제54호 | 2011.06

 

                  1. 머리말
                  2. 십(10)과 십이(12)의 선정 배경
                  3. 십간·십이지의 명칭과 기원
                     1) 십간·십이지의 명칭
                     2) 십간·십이지의 기원
                  4. 갑골문에 나타난 십간·십이지
                  5. 고문헌에 나타난 십간·십이지
                     1) 고문헌에 나타난 십간의 의미
                     2) 고문헌에 나타난 십이지의 의미
                  6. 십간·십이지의 고대 한국으로 전래와 정착
                  7. 맺음말

 

  십간·십이지는 상고대 이래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수많은 문화 요소들과 결부되어 유의미하게 사용되고 있다. 여러 문헌·유물자료를 통해볼 때 한반도에서는 늦어도 5세기 전반부터 십간·십이지를 활용해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비록 한국의 고유 문화요소는 아니지만 십간과 십이지는 날짜·방위·색상 등과 연계되어 궁합·택일·운수 등 한국 민속신앙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십간의 10은 열 손가락을 가진 인간이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수법은 바로 10진법이라는 사실에서, 십이지의 12는 1년에 12삭망월이 있다는 사실에서 가장 크게 기인한다. 간지의 쓰임은 갑골문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간지(干支)’라는 명칭은『논형』「힐술편」에 처음으로 보인다. ‘간지’로 불리기 전에는 ‘일진(日辰)’과 ‘모자(母子)’로도 불렸다. 간지의 기원에 관해서는 황제가 그 스승이자 사관인 대요에게 명하여 제정했다는 설과 천황씨가 창안했다는 설, 황제가 하늘로부터 직접 내려 받았다는 설 등이 전해지고 있으나 역사적 사실로 보기는 어렵고 신화 상의 유래로 봐야 한다.
 『설문해자』를 비롯한 고문헌에 나타난 십간․십이지의 의미는 대부분 자연의 생장수장(生長收藏) 과정, 음양의 교차 순환, 사람의 신체 일부 등에 결부지어 설명되고 있는 반면, 갑골문에 나타난 십간·십이지의 의미는 대부분 물고기··벼, 그리고 수렵·어로·농경 도구 등을 직접 형상한 것이다. 고문헌상의 간지는 갑골문상의 간지와 달리 후대에 이르러 음양오행설로 채색되었다. 이렇게 음양오행의 상생상극 관념과 결합하면서 십간·십이지는 더 이상 단순한 부호가 아니라 상수화․신비화된 관념과 복잡한 술수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주제어: #간지(干支), #십간(十干), #십이지(十二支), #천간(天干), #지지(地支), #육십갑자(六十甲子), #사주(四柱), #열두띠, #민속신앙, #속신(俗信), #60갑자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명함2.png
대구작명소 유명한 김만태교수 유명한 대구작명소 김만태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대구작명 대구사주 대구철학관 김만태교수 유명한 철학관
#유명한 #작명소 #철학관 #김만태 #김만태교수 #대구작명소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유명한작명소 #사주잘보는철학관 #대구작명

 
   

copyright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김만태교수 사주작명원>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