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주명리 연구
2012년 대한민국학술원(大韓民國學術院) 우수학술도서 선정
그림 목록
<그림 1> 사주명리의 체(體)와 용(用)
<그림
2> 사주명리 문화의 관계도
<그림
3> 오늘의 띠별 운세와 별자리 운세
<그림
4> 점복의 유형(―――――――: 자연 그대로, 〓〓〓〓: 인위성
추가)
<그림
5> 운세 사이트
<그림
6> 사주명조와 천궁도(양력 1961년 5월 4일 0시 30분경 출생 남자)
<그림
7>『옥조신응진경(玉照神應眞經)』(『고금도서집성』수록)
<그림
8> 권보(權溥)의 사주 명조
<그림
9>『자평삼명통변연원(子平三命通變淵源)』<공록격(拱祿格)>항목
<그림
10>「오행총괄서(五行摠括序)」
<그림
11> ≪과로도기도(果老倒騎圖)≫(김홍도, 18C말)
<그림
12> 충주지씨 가계의 명과학 세전도(式命: 식년시 명과학, 增命:
증광시 명과학)
<그림
13> 부산 영도다리 밑 김용진 옹의 철학관
<그림
14> 대구 달성공원 앞 철학관들
<그림
15> 복술(卜術) 광고지(村山智順,『朝鮮の占卜と豫言』, 朝鮮總督府,
1933)
<그림
16> 1972년 8월 철거 전 서울 남산공원 어귀 점집들(동아일보 1972.2.29)
<그림
17> 미아리 점복거리
<그림
18> 김동초의 신문광고(동아일보 1948.6.1)
<그림
19> 사주정설ㆍ사주감정법비결집ㆍ사주첩경ㆍ명리요강(좌로부터)
<그림
20> 표준시 칙령(대한제국관보 1908.2.11)
<그림
21> 서머타임 실시 안내(동아일보 1956.5.20)
<그림
22> 사주명리의 경험 과정
<그림
23> 가액예방부ㆍ가택편안부
<그림
24> 홍범구주도(洪範九疇圖)의 오행
<그림
25> 태극도(太極圖)
<그림
26> 고법사주(古法四柱)의 삼재 체계(『이허중명서』)
<그림
27> 신법사주(新法四柱)의 삼재 체계(『적천수』)
<그림
28> ≪하늘과 땅≫
<그림
29> 旬의 갑골문과 금문
<그림
30> 12차와 12진, 세성과 태세의 대응관계
<그림
31> 오천오운 천문도
<그림
32>『자평삼명통변연원』(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그림
33> 적천수천미ㆍ궁통보감ㆍ자평진전평주(좌로부터)
<그림
34> 사주와 대저울, 그리고 중화와 평형
<그림
35> 7요ㆍ황도12궁ㆍ28수(『수요경』)
<그림
36> 당사주의 12성
<그림
37> 점성술의 황도12궁
<그림
38> 당사주책(일제강점기,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그림
39> 수장결(手掌訣)
<그림
40>「국문 당사주해」의 12성과 남녀 순역
<그림
41> 형제궁
<그림
42>『토정가장결(土亭家藏訣)』
<그림
43> 토정의 조카 이산해(李山海)의 사주
<그림
44> 토정비결 작괘(作卦) 공식
<그림
45> 토정비결(간행년 미상,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그림
46> 863[師之升]괘
<그림
47> 온라인 토정비결 이벤트
<그림
48> 구궁도(九宮圖)
<그림
49> 본궁변괘(本宮變卦) 순서
<그림
50> 오음합혼길흉(간행년 미상, 1900년대 초반 추정,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그림
51> 사주단자(四柱單子)(안동 풍산)
<그림
52>『세차병오 명시력』(1906년,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그림
53>『경진년 대통력』(1580년, 보물 제1319호,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그림
54>『천기대요(天機大要)』(1737년,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그림
55> 정월 닭날[酉日]에 장 담그는 모습(안동 풍천 구담리)
<그림
56> 쌍춘년 등으로 혼인 증가(한국정책방송, 2008.3.25)
<그림
57> 길일을 가려 치른 제7대 대통령선거
<그림
58> 양력 2009년 11월 1일 밤10시에 태어난 사람의 사주팔자
<그림
59> 수저 주머니(앞뒤, 조선 후기)
<그림
60> 남자의 육신 관계도( ─── : 대등 ───● : 생 ───▶:
극)
<그림
61> 여자의 육신 관계도( ─── : 대등 ───● : 생 ───▶:
극)
<그림
62> 육신(六神)과 오복(五福)의 관계도
<그림
63> 허균(許筠)의 사주와 대운
<그림
64>『금낭경(錦囊經)』산세편(山勢篇)
<그림
65> 사주명리의 운명함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