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즐겨찾기추가
김만태 교수의 이름 이야기

Research

연구자료실

연구논문
연구자료실
한국인의 삶에서 수연례(壽宴禮)가 갖는 의미 분석
2015.03.27 14:21
작성자 : 김만태교수    메일 : ware4u@hanmail.net 조회 : 4,531  
   한국인의 삶에서 수연례(壽宴禮)가 갖는 의미 분석.pdf (1.3M) [24] DATE : 2015-03-27 14:21:24

명리학, 사주명리, 진로적성, 작명, 개명, 신생아, 신생아이름, 신생아작명, 아기이름, 아기이름작명, 사주상담, 작명상담, 상호작명, 성명학, 음양오행, 직업

 한국인의 삶에서 수연례(壽宴禮)가 갖는 의미 분석

 

김만태 | 실천민속학회 | 실천민속학 연구 제12호 | 2008.08

 

1. 머리말
2. 수연례의 기원과 전개
3. 수연례의 현대적 변화양상
4. 수연례에 담긴 문화적 의미
5. 맺음말

 

  부모의 무병장수를 감사하며 축하하는 수연례는 효행사상을 확립하기 위한 방편으로도 이용되었다. 수연례는 의식(ceremony)을 통해 새로운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는 통과‘의례’(rite) 측면도 있지만, 가족주의를 바탕으로 유교적 사회질서를 실현하기 위해 사람이 실천해야 할 ‘규범’(norm)이 주이다.
   한국사회에서 수연례는 ‘자식의 효심, 축수의 기원, 체면을 위한 과시, 품앗이 관행’ 등이 만들어낸 문화이다. 문화의 특성상 수연례도 많이 변화하고 있다. 효행의 물질적 경향, 평균수명의 연장, 실리적 사고경향, 품앗이 관행의 약화 등으로 오늘날 수연례는 ①환갑에서 칠순으로 ②잔치에서 여행으로 ③점차 남녀차별 없이 ④집에서 전문뷔페로 ⑤이제는 부조 없이 등으로 변하고 있다. 이 가운데서도 無부조의 경향이 가장 특징적이다.
  지금은 수연례를 통해 노인으로서 새로운 사회적 지위를 획득한다는 의미 및 같은 60갑자를 다시 맞이하는 것을 축하한다는 의미, 즉 의례적 의미가 약화되었다. 또한 자식들의 효행을 담보한다는 규범적 의미도 많이 약해졌다. 이로 인해 수연례는 임의적 의례로의 성격이 보다 더 강해지고 있다.

 

주제어: 수연(壽宴), 수연례, 회갑, 환갑, 고희, 칠순, 회갑잔치, 환갑잔치, 칠순잔치, 축수(祝壽)


 
   

copyright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김만태교수 사주작명원>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