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즐겨찾기추가
김만태 교수의 이름 이야기

Research

연구자료실

연구논문
연구자료실
김만태 교수『정선명리학 인(人)』출간
2025.04.13 10:12
작성자 : 김만태교수    메일 : ware4u@hanmail.net 조회 : 159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전체표지.jpg

교보문고, 알라딘 에서 구입 가능합니다.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정선명리학-인-배너.jpg

천지인 ‘정선명리학 인()’을 발간하며

30대에 들어서 동양사상과 한국문화에 관한 여러 자료를 접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풍수학과 사주학에 관한 책들도 보게 되었다. 그 인연이 삶의 굴곡 과정에서 더욱 이어져 지금은 사주명리학에 완전히 몸을 담그고 있다.

내가 명리학을 왜 공부하게 되었는가,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앞으로도 무엇을 할 것인가를 늘 되새기고 있다. 그래서 흔들리지 않으려고 나름대로 세 가지 원칙을 세우게 되었다.

① 명리 원전(原典)의 현대적 재해석 ② 사주명리의 실제적 적용 ③ 명리학의 학술적 정체성 확립. 지금도 이 세 가지를 명심하며 실행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 결실 중 하나가 바로 「정선명리학」이다.

원래는 2009년 서라벌대학교 풍수명리과에 명리학 강의를 맡게 되면서부터 1장씩 적었던 강의자료들이 계속 모이고, 2013년부터 동방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에서 명리학 강의와 논문 지도를 하면서 명리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어서, 「명리학강론」 이름으로 그간의 연구자료와 강의자료들을 정리해서 묶고, 내용을 계속 수정 보완하면서 대학원 강의교재로 활용해오던 책이다.

그 책을 2022년 3월에 「정선명리학강론」으로 발간하였는데, 2년이 흘러 이번에 천지인(天地人) 세 권으로 나누면서 다시 내용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본래 대학원 강의교재로 10년간 사용하던 책이라서 명리학의 입문자들에게는 이해하기가 어렵고, 명리학을 공부해온 분들에게도 생소한 내용이 많이 있다. 하지만 위 세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명리학에 대한 보다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단행본으로 펴내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 다시 천지인(天地人) 세 권으로 나누어 발간하게 되었다.

사주명리의 술수적ㆍ방법적 측면의 연구를 통해 사주명리의 정확성을 높이려는 노력과 사주명리의 사상적ㆍ철학적 측면에 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사주명리학의 정체성을 올바르게 정립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한결 성숙되고 보다 높은 차원으로 사주명리 문화가 발전해 나갈 수 있다.


- 대한민국 최초 국립대 사주명리학 전공 박사

- 대한민국 최초 사주명리학 전공 대학 전임교수

-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한국 사주명리 연구〉 저자

- 사주명리·성명학 학술연구 논저 110여 편 이상

- 「정선명리학강론」(2022년)을 천지인 세 권으로 나누고 수정 보완

- 우리가 어떻게 태어나 어떻게 살고 있는지 사주명리에 대한 지혜를 알려주는 책


김만태 교수는 사주명리학 전공자로서는 대한민국 최초로 대학 전임교수가 되었고, 동방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 등에서 전임교수로 재직하였고, 지금은 경북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정선사주명리ㆍ성명학ㆍ주역을 강의하고 있다.

그의 저서 중 ‘한국 사주명리 연구’는 2012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바가 있다. ‘정선명리학강론’ 등 15권의 연구 단행본을 이미 출간하였으며,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논문도 100여 편이 있다.


명리학자 대학/대학원 교수

노겸(勞謙) 김만태


〈경력〉

경북대학교 평생교육원 강의(정선사주명리)

前동방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 교수(명리학·성명학)

前동방대학원대학교 명리성명학연구소장(동양학연구소)

(사)K-문화융합협회 학제간융합위원장

한국명리성명학회 창립회장

前서라벌대학교 풍수명리과 교수·학과장

前서라벌대학교 풍수명리과 강사

한국종교학회 정회원

실천민속학회 평생회원

바른역사학술원 편집위원


〈학력〉

국립안동대학교 대학원(문학박사), 「한국 사주명리의 활용양상과 인식체계」(2010)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문학석사), 「명리학의 한국적 수용 및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2005)

인하대학교 항공공학과(공학사)


〈연구서〉

한국 사주명리 연구(2012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2022년 2쇄 출간)

한국 성명학 신해(2016년 초판, 2018년 보정판)

정선명리학강론(2022년), 훈민정음 모자음오행성명학(2022년), 실생활 주역(2024년), 정선명리학 天(2024년) 등 15권


〈연구논문〉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논문 100여 편


〈활동경력〉

한국명리성명학회 창립(2015년 한국연구재단 등록)

김만태 교수의 모자음오행성명학(특허청 상표등록, 제40-1641145호)

인천광역시교육청,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경성대학교 경영대학원, 가톨릭관동대학교, 한양대학교 동양학 대토론회 등 특강 다수

한국도교문화학회와 공동 학술세미나(도교·노자·명리학), 한국명리성명학회 학술세미나 등 개최

SBS 8시뉴스, MBC 생방송 오늘아침, KBS 아침뉴스타임, KBS 추적60분(운명의 바코드 750105) 등 방송 출연 및 신문 보도 다수



제9장. 격국과 용신 13

1. 격국과 용신의 개요 15

2. 격국과 용신을 살피는 이유 20

3. 사주 강약의 구분 기준 23

4. 억부용신과 조후용신 29

5. 격국을 정하는 기준 34

6. 「자평진전」의 격국과 격국용신 39

7. 격국용신의 취용 41


제10장. 격국의 종류 45

1. 식신격 47

2. 상관격 55

3. 정재격 62

4. 편재격 68

5. 정관격 73

6. 편관격(칠살격) 77

7. 정인격 79

8. 편인격(도식격) 82

9. 건록격(비견격), 양인격ㆍ음인격(겁재격) 85

10. 종격(從格) 89

11. 화격(化格) 93


제11장. 사주 간명 방법 95

1. 사주 간명의 순서 97

2. 사주 간명시 참고사항 110

3. 쌍생아(雙生兒)ㆍ동일사주 간명법 117

오행과 질병 132

오행의 전공과 직업 137

부부 궁합의 명리학적 특징 151


제12장. 운명론 관련 읽을거리 155

산으로 돌아가는 중[僧] 해안(海眼)을 전송한 글 157

허균과 소설 속 홍길동의 명리학적 연관성 159

과로도기도(果老倒騎圖) 166

인정승천(人定勝天) 167

운명(運命)의 세 종류 168

사주와 운명론 그리고 과학 170

후천팔괘와 구궁(九宮) 175

운명을 바꾸는 방법(개운법), 오유지족(吾唯知足) 177


참고문헌 179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명함1.png


 
   

copyright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김만태교수 사주작명원>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