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즐겨찾기추가
김만태 교수의 이름 이야기

Research

연구자료실

연구논문
연구자료실
갑목(甲木)의 오행적 특성과 십성(十星)의 상관관계
2023.05.29 08:35
작성자 : 김만태교수    메일 : ware4u@hanmail.net 조회 : 2,669  
   갑목의 오행적 특성과 십성의 상관관계.pdf (771.1K) [11] DATE : 2023-05-29 08:35:21


갑목(甲木)의 오행적 특성과 십성(十星)의 상관관계
최상길·김만태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동방문화와 사상 제8집 | 2020.06

      Ⅰ. 서론
      Ⅱ. 오행별 天干의 명리학적 이해
      Ⅲ. 관계론적 思惟인 十星의 양상
      Ⅳ. 甲木이 만난 他干 오행과 十星의 상관성
      Ⅴ. 결론

 오행이 통변의 체(體)라고 하면 십성은 통변의 용(用)이 된다. 木火가 생동감과 역동적으로 발산하려는 기운이라면, 상대적으로 金水는 수축하고 조용하게 수렴하는 기운이다. 土는 중앙에서 호흡하며 변화를 조율하는 기운이다.
 오행도 음양에 따라 강유(剛柔)를 달리한다. 십성은 일간을 기준으로 하여 가족관계는 물론 대인관계, 사회적 환경, 직업, 건강 등을 보다 복합적이고 세심하게 관찰하는 것이다. 사주를 간명할 때는 체용의 관계를 적절히 활용해야 분위기나 느낌, 행동양식이 다르기 때문에 십성 부분만 복합적으로 간명한다고 해서 별 문제가 없다고 해서는 안 된다.
 같은 오행이라도 음양 관계가 다르면 성격이나, 대인관계, 심리, 일처리 방식이 전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를 대상으로 한 편의 논문이 나오기는 하였으나 정관과 편관만을 논한 것으로 이론 체계와 구조화의 아쉬움도 많았다.
 이에 필자는 甲木의 오행적 특성이 다른 천간을 만남으로 여러 양상으로 변화되는 것을 논하였으며, 甲木과 만나는 십성이 다른 십성과의 상관관계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도 오행적인 특성을 접목하여 기술하였다.
 본 논문은 甲木과 대응하는 천간 10개의 오행적 특성과 십성의 상관관계를 이론 체계를 구축하고, 구조화하는 본격적인 논의의 출발점이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하겠다. 다만 월령과 지지의 합‧충‧형‧파‧해 등을 병행하지 못한 점은 논문의 한계가 있음을 밝혀둔다.
 이 논문이 같은 십성이라도 관련되는 오행의 특성에 따라 성격, 일처리 방식, 심리적 양상, 사안에 따른 대응방법 등 간명하는 새로운 관점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주제어: #간명, #갑목, #오행, #일간, #십성, #상관관계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명함2.png
대구작명소 유명한 김만태교수 유명한 대구작명소 김만태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대구작명 대구사주 대구철학관 김만태교수 유명한 철학관
#유명한 #작명소 #철학관 #김만태 #김만태교수 #대구작명소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유명한작명소 #사주잘보는철학관 #대구작명

 
   

copyright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김만태교수 사주작명원>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