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에 함축된 ‘정기신(精氣神)’ 고찰: 임철초주(任鐵樵注)를 중심으로 
송미규·김만태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제90집 | 2021.12

85. 쌍둥이[雙生兒] 사주 이론의 분석 및 간명(看命)에 관한 연구 
이흥신·김만태 │ 한국문화융합학회 | 문화와 융합 제88집 | 2021.12

84. 민속신앙의 원형으로서 간명일장금(看命一掌金)의 십이성(十二星)과 십이지(十二支)의 연관성 고찰 
김만태 │ 한국민족사상학회 | 민족사상 제15권 제3호 | 2021.09

83. 맹파명리(盲派命理) ‘체용(體用)’ 이론에 관한 고찰 
조영순·김만태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 동방문화와 사상 제10집 | 2021.06

82. 명리학에서 十二運星에 관한 이론적 고찰: 陰陽順逆⋅火土同宮의 관점을 중심으로 
최산태·김만태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동양문화연구 제34집 | 2021.05

81. 타로(Tarot) 메이저 아르카나와 음양(陰陽)·삼원(三元)의 상관성 고찰 
김만태 │ 한국문화융합학회 | 문화와 융합 제80집 | 2021.04

80. 타로 마이너 아르카나와 음양오행의 상관성 고찰 
김만태 │ 아시아문화학술원 | 인문사회21 제12(2)호 | 2021.04

79. 교사 직업군의 명리학적 특성 고찰 
김태수·김만태 │ 한국문화융합학회 | 문화와 융합 제77집 | 2021.01

78.『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에 의거한 모자음(母子音)오행성명학의 실증사례 분석 
김만태 │ 한국민족사상학회 | 민족사상 제14권 제3호 | 2020.12

77. 국가고시 5급 출신 공무원의 명리학적 특성 고찰 
황순덕·김만태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동양문화연구 제33집 | 2020.11

76.『滴天髓闡微』原注와 任鐵樵注의 비교 분석:「通神論」의 <天道>에서 <配合>을 중심으로 
송미규·김만태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제85집 | 2020.09

75. 금융관리자의 명리학적 특성 고찰 
이동수·김만태 │ 아시아문화학술원 | 인문사회21 제11(4)호 | 2020.08

74. 치과의사에 대한 명리학적 특성 고찰 
권영조·김만태 │ 한국문화융합학회 | 문화와 융합 제71집 | 2020.07

73. Holland와 명리학 직업유형의 융합적 활용연구 
김은숙·김만태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과학연구 제40집 | 2020.07

72. 명리학에서 지장간의 천간(天干) 구성과 일수(日數) 배속 고찰 
최산태·김만태 │ 아시아문화학술원 | 인문사회21 제11(3)호 | 2020.06

71. 甲木의 오행적 특성과 十星의 상관관계 
최상길·김만태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동방문화와 사상 제8집 | 2020.06

70.『황제내경(黃帝內經)』과『동의보감(東醫寶鑑)』정기신(精氣神)론의 명리학적 적용 고찰
김만태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학 제159호 | 2020.06

69. 교사의 직업 적성에 관한 명리학적 고찰 
김태수·김만태 │ 한국문화융합학회 | 문화와 융합 제68집 | 2020.04

68. 엔터테인먼트 종사자의 명리학적 특성 분석 
김현숙·김만태 │ 아시아문화학술원 | 인문사회21 제11(1)호 | 2020.02

67. 박지원의 경제관과『허생전』의 연관성에 대한 명리학(命理學)적 고찰 
이승민·김만태 │ 아시아문화학술원 | 인문사회21 제10(6)호 | 2019.12

66. 명리학 관점에서 인간의 욕구에 관한 연구: 매슬로우 이론과 비교분석 
김은숙·김만태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동방문화와 사상 제7집 | 2019.12

65. 조선조 음양과(陰陽科) 명과학(命課學)의 필수과목『원천강(袁天綱)』연구 
김만태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동양학 제77집 | 2019.11

64.『용호비결(龍虎秘訣)』을 통해 본 공수도 수련체계의 호흡법 적용에 대한 고찰: 단학의 관점에서 조식(調息)⋅폐기(閉氣)호흡법 적용을 중심으로 
추해광·김만태 │ 한국문화융합학회 | 문화와 융합 제63집 | 2019.10

63.『황제내경(黃帝內經)』 오운육기(五運六氣)학설과 명리학(命理學)의 상응·대비 관계 고찰 
김봉만·김만태 │ 아시아문화학술원 | 인문사회21 제10(4)호 | 2019.08

62. 육자진언(六字眞言) ‘옴마니반메훔’ 소리의 모자음오행 분석 
김만태 │ 아시아문화학술원 | 인문사회21 제10(3)호 | 2019.06

61. 오행 중 화(火)의 태과(太過)・불급(不及)에 관한 명리학적 고찰 
김용회·김만태 │ 아시아문화학술원 | 인문사회21 제10(2)호 | 2019.04

60. 연구직 종사자의 명리학적 특성 고찰: ○○연구원을 중심으로 
김나정·김만태 │ 아시아문화학술원 | 인문사회21 제10(1)호 | 2019.02

59. 사주 십성(十星)의 계량화(計量化)와 활용에 대한 고찰 
이재승·김만태 │ 한국문화융합학회 | 문화와 융합 제59집 | 2019.02

58. 모자음오행(母子音五行)의 성명학적 적용 연구 
김만태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동방문화와 사상 제6집 | 2019.02
대구작명소 유명한 김만태교수 유명한 대구작명소 김만태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대구작명 대구사주 대구철학관 김만태교수 유명한 철학관
#유명한 #작명소 #철학관 #김만태 #김만태교수 #대구작명소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유명한작명소 #사주잘보는철학관 #대구작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