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즐겨찾기추가
김만태 교수의 이름 이야기

Research

연구자료실

연구논문
연구자료실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원주(原注)와 임철초주(任鐵樵注)의 비교 분석
2023.06.01 22:46
작성자 : 김만태교수    메일 : ware4u@hanmail.net 조회 : 2,484  
   『滴天髓闡微』 原注와 任鐵樵注의 비교 분석 -「通神論」의 天道에서 配合을 중심으로 -.pdf (2.4M) [18] DATE : 2023-06-01 22:46:23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원주(原注)와 임철초주(任鐵樵注)의 비교 분석
:「통신론(通神論)」의 <천도(天道)>에서 <배합(配合)>을 중심으로
송미규·김만태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제85집 | 2020.09

Ⅰ. 머리말
Ⅱ.『적천수천미』의 저술 경위
Ⅲ.『적천수천미』의 원주(原注)와 임주(任注) 비교 분석
Ⅳ. 맺음말

『적천수(滴天髓)』의 함의(含意)를 연역(演繹)하는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는원문(原文)과 원주(原注), 임철초주(任鐵樵注)로 구성되어 있다. 『적천수천미』는각 항목마다 실제 명조(命造)를 예로 들어 주해(註解)하고 있는데, 그 논의가 명쾌하고 심도가 깊어 『궁통보감(窮通寶鑑)』·『자평진전(子平眞詮)』과 함께 명리학의 3대 원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금까지 『적천수천미』의 해석이나 저자에 관한 논의는 많았으나, 원주(原 注)와 임철초주(任鐵樵注)의 미묘한 차이에 대해서는 개략적으로 파악하고 있었을 뿐 자세히 다뤄진 적이 없었다. 원저자인 명대(明代) 초의 유백온(劉伯溫)과청대(淸代) 말의 임철초(任鐵樵)는 그 시대적 간극이 5백여 년이나 되어 그 사상적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원문과 주해를 통해서 두 저자의 사상적 차이와 이론체계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유학자였던 유백온은 세상 만물이 각자 자신의 위치에서 중도(中道)를 지키고 조화로울 수 있도록 명리학에 유학을 녹여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명리학을통해 명운(命運)의 길흉 해석을 평생 업으로 하였던 임철초는 원문과 원주의 대부분 내용에 공감하면서도 개인이 삶에서 깨달아야 할 명리상(命理上)의 이치에 더욱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이것은 두 사상가의 생애가 그들의 이론체계에 영향을 끼친 결과로 볼 수 있다.
『적천수천미』 통신론(通神論) 서두 6장에서는 유백온과 임철초 사상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유가적 윤리사상과 중화사상의 대의(大儀)를함께하며 임철초가 『적천수』의 이론체계를 발전시키고자 노력한 흔적만이 보인다.

주제어: #적천수, #적천수천미, #유백온, #임철초, #명리학, #사주명리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명함2.png
대구작명소 유명한 김만태교수 유명한 대구작명소 김만태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대구작명 대구사주 대구철학관 김만태교수 유명한 철학관
#유명한 #작명소 #철학관 #김만태 #김만태교수 #대구작명소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유명한작명소 #사주잘보는철학관 #대구작명

 
   

copyright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김만태교수 사주작명원>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