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즐겨찾기추가
김만태 교수의 이름 이야기

Reference

자료실

연구논문
연구자료실
불용한자(不用漢字)는 있는가?
2023.06.07 15:31
작성자 : 김만태교수    메일 : ware4u@hanmail.net 조회 : 7,797  

이름에 불용한자(不用漢字)는 있는가?

불용한자는 이름에 사용하지 않는다는 한자(漢字)이다.

현재 불용한자로 분류되는 한자는 대략 357자이다.

유형별로 보면, 본명인(本名人)의 운명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불길(不吉)한자 163자, 의미가 좋지 않은 자의(字義)상 불용한자 141자, 기타 불용한자 53자이다.

많은 사주상담가, 작명가들이 불용한자를 이름자에 사용할 수 없다고 공공연하게 주장하며 사람들을 현혹시키고 있지만 이를 검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래서 본 내용에서는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을 하였다.

성명(姓名)에서 이름자(名字)의 불용문자(不用文字) 고찰

권익기·김만태 |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한국학연구 64집 | 2018.3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불용한자논문.png



조선 시대 최고 관직이었던 영의정,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대통령·행정·입법·법조계 최고위층, 경제계 49개 그룹 전·현 소유주, 서울의 7개 대학교 전·현 총장 등 대한민국 지도자의 이름에 불용한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살펴본 결과, 43.6%가 불길한자, 45.2%가 불용한자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고도 각 분야의 최고위층에 올랐다.

이는 대다수 작명가들의 주장과는 달리 역사적으로 불용한자가 따로 존재하거나, 운명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불길한자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1940년 2월 11일 일제의 창씨개명 때부터 작명가들이 무고한 사람들에게 개명을 유도해서 돈벌이 수단으로 불용한자(문자)를 악용하고 있다는 것이 결론이다.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230607-still-life-g6e1f96eae_640.jpg

1. 당사자의 운명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불길(不吉)한자(163자)

① 나쁜 작용을 불러온다는 한자: 可(옳을 가) 强(굳셀 강) 慶(경사 경) 光(빛 광) 九(아홉 구) 久(오랠 구) 國(나라 국) 貴(귀할 귀) 極(다할 극) 錦(비단 금) 琴(거문고 금) 吉(길할 길) 男(사내 남) 南(남녘 남) 女(여자 녀) 大(큰 대) 德(덕 덕) 挑(돋울 도) 乭(이름 돌) 冬(겨울 동) 東(동녘 동) 童(아이 동) 了(마칠 료) 龍(용 룡) 立(설 립) 滿(찰 만) 末(끝 말) 明(밝을 명) 命(목숨 명) 文(글월 문) 美(아름다울 미) 敏(재빠를 민) 培(북돋을 배) 福(복 복) 富(풍성할 부) 北(북녘 북) 分(나눌 분) 粉(가루 분) 飛(날 비) 絲(실 사) 四(넉 사) 山(뫼 산) 上(윗 상) 常(항상 상) 西(서녘 서) 石(돌 석) 星(별 성) 成(이룰 성) 盛(담을 성) 笑(웃을 소) 昭(밝을 소) 壽(목숨 수) 淑(맑을 숙) 勝(이길 승) 時(때 시) 新(새 신) 信(믿을 신) 實(열매 실) 心(마음 심) 安(편안할 안) 愛(사랑 애) 榮(꽃 영) 玉(구슬 옥) 完(완전할 완) 勇(날쌜 용) 雨(비 우) 雲(구름 운) 元(으뜸 원) 月(달 월) 留(머무를 유) 銀(은 은) 義(옳을 의) 伊(저 이) 益(더할 익) 仁(어질 인) 一(하나 일) 日(날 일) 長(길 장) 點(점 점) 貞(곧을 정) 政(정사 정) 晶(밝을 정) 精(쌀 정) 重(무거울 중) 枝(가지 지) 地(땅 지) 眞(참 진) 珍(보배 진) 進(나아갈 진) 鐵(쇠 철) 靑(푸를 청) 初(처음 초) 秋(가을 추) 春(봄 춘) 出(날 출) 忠(충성 충) 平(평평할 평) 風(바람 풍) 豊(풍성할 풍) 態(모양 태) 泰(클 태) 夏(여름 하) 海(바다 해) 玄(검을 현) 虎(범 호) 紅(붉을 홍) 花(꽃 화) 孝(효도 효) 輝(빛날 휘) 喜(기쁠 희) 姬(여자 희)

② 숫자 단위 한자: 十(열 십) 百(일백 백) 千(일천 천) 萬·万(일만 만) 億(억 억) 兆(조 조)

③ 갈라지는 한자: 林(수풀 림) 順(순할 순) 用(쓸 용) 任(맡길 임) 州(고을 주) 昌(창성할 창) 川(내 천) 喆(밝을 철) 好(좋아할 호)

④ 높은 경지의 한자: 君(임금 군) 靈(신령 령) 佛(부처 불) 仙(신선 선) 神(귀신 신) 王(임금 왕) 尊(높을 존) 天(하늘 천) 皇(임금 황)

⑤ 오행·천간·지지 한자: 木(목) 火(화) 土(토) 金(금) 水(수) 甲(갑) 乙(을) 丙(병) 丁(정) 戊(무) 己(기) 庚(경) 辛(신) 壬(임) 癸(계) 子(자) 丑(축) 寅(인) 卯(묘) 辰(진) 巳(사) 午(오) 未(미) 申(신) 酉(유) 戌(술) 亥(해)


2. 의미가 좋지 않은 한자(141자)

① 소리와 뜻이 나쁜 한자: 假(거짓 가) 姦(간사할 간) 奸(범할 간) 渴(목마를 갈) 減(덜 감) 乞(빌 걸) 缺(이지러질 결) 傾(기울 경) 驚(놀랄 경) 苦(괴로울 고) 哭(울 곡) 恐(두려울 공) 寡(적을 과) 棺(널 관) 狂(미칠 광) 壙(뫼 구덩이 광) 誆(속일 광) 愧(부끄러울 괴) 怪(기이할 괴) 拐(속일 괴) 垢(때 구) 欺(속일 기) 飢(주릴 기) 棄(버릴 기) 難(어려울 난) 亂(어지러울 난) 奴(종 노) 怒(성낼 노) 惱(괴로워할 뇌) 尿(오줌 뇨) 逃(달아날 도) 盜(훔칠 도) 毒(독 독) 癩(나환자 라) 漏(샐 루) 蠻(오랑캐 만) 亡(망할 망) 盲(소경 맹) 未(아닐 미) 伐(칠 벌) 犯(범할 범) 病(병 병) 否(아닐 부) 腐(썩을 부) 不(아닐 불) 卑(낮을 비) 婢(여종 비) 貧(가난할 빈) 邪(간사할 사) 死(죽을 사) 削(깎을 삭) 殺(죽일 살) 傷(상처 상) 喪(죽을 상) 消(사라질 소) 衰(쇠할 쇠) 屍(주검 시) 餓(주릴 아) 惡(악할 악) 殃(재앙 앙) 哀(슬플 애) 厄(재앙 액) 疫(염병 역) 汚(더러울 오) 辱(욕될 욕) 愚(어리석을 우) 怨(원망할 원) 違(어길 위) 淫(음란할 음) 泣(울 읍) 刃(칼날 인) 刺(찌를 자) 雜(섞일 잡) 障(가로막을 장) 爭(다툴 쟁) 絶(끊을 절) 懲(혼날 징) 慙(부끄러울 참) 斬(벨 참) 縮(줄일 축) 沈(잠길 침) 墮(떨어질 타) 歎(탄식할 탄) 奪(빼앗을 탈) 貪(탐할 탐) 痛(아플 통) 鬪(싸움 투) 破(깨뜨릴 파) 敗(깨뜨릴 패) 廢(폐할 폐) 割(나눌 할) 害(해할 해) 險(험할 험) 刑(형벌 형) 魂(넋 혼) 禍(재화 화) 譃(망령된 말 후) 凶(흉할 흉)

② 곧 사라지는 의미 한자: 露(이슬 로) 霜(서리 상) 雪(눈 설)

③ 장남 한자: 乾(하늘 건) 孟(맏 맹) 伯(맏 백) 甫(클 보) 先(먼저 선) 承(이을 승) 始(처음 시) 胤(이을 윤) 前(앞 전) 宗(마루 종) 柱(기둥 주) 太(클 태)

④ 장남 이외 한자: 桂(계수나무 계) 暮(저물 모) 小(작을 소) 少(적을 소) 孫(손자 손) 低(낮을 저) 弟(아우 제) 下(아래 하) 後(뒤 후)

⑤ 약형(弱形)한자: 科(과정 과) 斤(도끼 근) 年(해 년) 半(반 반) 帛(비단 백) 市(저자 시) 平(평평할 평) 幸(다행 행) 戶(지게 호)

⑥ 허형(虛形)한자: 去(갈 거) 共(함께 공) 弓(활 궁) 門(문 문) 方(모 방) 細(가늘 세) 入(들 입) 占(차지할 점) 八(여덟 팔) 行(갈 행)


3. 기타 유형(53자)

 동물 이름: 犬(개 견) 鷄(닭 계) 龜(거북 구) 豚(돼지 돈) 馬(말 마) 猫(고양이 묘) 蛇(뱀 사) 鼠(쥐 서) 魚(물고기 어) 牛(소 우) 鳥(새 조) 豹(표범 표) 鶴(학 학)

② 식물 이름: 菊(국화 국) 蘭(난초 난) 梅(매화나무 매) 松(소나무 송) 竹(대나무 죽)

③ 신체 이름: 脚(다리 각) 肩(어깨 견) 口(입 구) 頭(머리 두) 目(눈 목) 背(등 배) 鼻(코 비) 手(손 수) 首(머리 수) 眼(눈 안) 胃(밥통 위) 耳(귀 이) 足(발 족) 胸(가슴 흉)

④ 가족관계 이름: 母(어미 모) 父(아비 부) 祖(조상 조) 姪(조카 질)

⑤ 복잡한 한자: 羹(국 갱) 驥(천리마 기) 囊(주머니 낭) 戇(어리석을 당) 鸞(난새 란) 磊(돌무더기 뢰) 鼈(자라 별) 彛(떳떳할 이) 鑿(뚫을 착) 譃(망령된 말 후)

⑥ 발음이 둘 이상인 한자: 見(볼 견·뵈올 현) 龜(거북 구·귀) 度(법도 도·헤아릴 탁·살 택) 樂(노래 악·즐길 락·좋아할 요) 易(쉬울 이·바꿀 역) 車(수레 차·거) 宅(집 택·댁 댁)

▶ 재물이 나가고, 단명한다는 불용한자도 결코 없다!!(클릭)

cd1295c7bf19b199538c98491e209a38_명함2.png
대구작명소 유명한 김만태교수 유명한 대구작명소 김만태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대구작명 대구사주 대구철학관 김만태교수 유명한 철학관
#유명한 #작명소 #철학관 #김만태 #김만태교수 #대구작명소 #대구철학관 #대구사주 #유명한작명소 #사주잘보는철학관 #대구작명

 
   

copyright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김만태교수 사주작명원> 블로그